Featured Post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받는 방법 + 온라인 신청 완전 정리

이미지
운전면허증은 신분증으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빠르게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부산 시민의 경우 재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면허증 재발급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운전면허증 재발급 vs 갱신 차이점 재발급은 '분실/훼손/ 정보 변경 진행되는 절차이며 '갱신'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절차입니다.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재발급' 을 받으시면 되고 유효기간이 곧 만료되거나 이미 만료되신 분들이라면 '갱신 '을 하시면 됩니다. * 갱신 기간은 운전면허증 앞면 하단에 '적성검사(갱신) 기간'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바로가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운전면허증을 분실한 경우 운전면허증이 훼손된 경우 주소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사진이 오래되어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갱신이 아닌 '재발급 거쳐야 하며 재발급은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방법 총정리 운전면허증 재발급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온라인 재발급 도로교통공단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통해 인터넷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재발급 바로가기 재발급 수수료 IC모바일 운전면허증 영문/국문: 15,000원 일반 면허증 영문/국문: 10,000원 운전면허재발급-신청완료 저와...

손목에 관련된 근육들

 손목 운동에 작용하는 근육

손목 운동에 작용하는 근육들에는 손바닥 쪽으로 손목을 굽히는 데 쓰이는 근육들과 손등 쪽으로 손목을 젖힐 때 사용하는 근육들이 있습니다. 손목 굽힘근은 수근 굴근이라고도 불리며 손바닥 쪽으로 손목을 굽힐 때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상완 내과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팔꿈치 안쪽 통증인 엘보와 관련이 있습니다. 덤벨이나 바벨을 잡고 손목을 꺾어 올리면 팔뚝 안쪽 근육에 힘이 들어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요측수근굴근은 상완골 내측 상과에서 일어나 2.3 중수골 사이에 뿌리를 둡니다. 손바닥 쪽으로 손목을 굽히는 주요 작용을 하며 엄지손가락 쪽으로의 내전을 보조합니다. 장장근은 좌우에 있는 요측수근굴근과 척측수근굴근과 마찬가지로 손가락에는 연결되지 않고 손바닥 건막에 부착됩니다. 망치질 같은 연장을 사용하고 나서 물건을 집기 어려울 때는 이 근육이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원회내근과 장장근 아래로는 신경이 지나가는데, 이때 근육이 긴장하면 손바닥이 저리거나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은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척측수근굴근은 상완두와 척골두로 나누어집니다. 이 근육들의 주요 작용은 손바닥 쪽으로 손목을 굽히는 것인데 새끼손가락 쪽으로 손목을 외전 시킬 때도  보조역할을 합니다. 수지 굴근은 손가락을 굽히는 근육으로 상와내과에서 일어나 자뼈를 타고 내려오기 때문에 팔꿈치 안쪽 통증인 골프엘보와 관련이 있습니다. 표층수지굴근은 상완골의 내측과 요측 상단 전면에서 일어나고 손목까지 이르게 됩니다. 심층수 지굴근은 자뼈의 전면과 아래팔뼈에서 시작하여 지절골에 붙습니다. 장무지굴근은 손바닥 엄지손가락 끝마디 뿌리 부분에 부착되며 손가락을 굽히는 작용을 합니다. 이 근육은 손날치기에서 엄지손가락을 구부려 손바닥 쪽으로 당겨 붙일 때 작용하는 근육입니다. 무지내전근은 손가락 중수골에서 엄지에 붙는 근육이며, 무지대립근은 엄지에만 붙는 근육입니다. 무지내전근은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쪽으로 구부릴 때 작용하며 무지대립근은 엄지손가락을 새끼손가락도 맞닿게 할 때 작용합니다. 이 근육들이 굳어있으면 엄지손가락을 넓게 벌리지 못하고 오그라들게 되어 손목을 바닥에 누를 때 제대로 누르지 못하게 됩니다. 요가 수련에서는 엄지손가락을 중지와 검지와 직각이 되도록 벌려야할 때게 있는데 이때에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엄지손가락의 활동반경을 넓히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히 스트레칭해야 하는데 테이블에 한 손씩 손가락이 바깥 방향으로 돌도록 손목을 왜 회 시켜놓고 락을 반대로 잡아 넓게 벌려주면 됩니다. 손목 폄근은 손등 쪽에서 손목을 신전시키는 근육들입니다. 요측 수근신근은 바깥쪽 상완골 주두에 부착하여 요골을 타고 내려옵니다. 이 근육들은 두 갈래로 나뉘어져 상완골 외측 상과에 부착됩니다. 덤벨이나 바벨을 들고 손목을 펴면 팔뚝 바깥에 힘이 들어오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이때 이 근육이 작용합니다. 척추 수근신근 역시 두 갈래로 나뉘어져 새끼손가락 중수골 뿌리에 건으로 부착됩니다. 손가락 폄근에는 지신근이 있습니다. 지신근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 끝까지 힘줄로 연결되어 있으며 손가락을 펴는 작용을 돕습니다. 손목 돌림근은 팔꿈치를 축으로 엄지손가락과 함께 회전하며 안팎으로 넘어가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외회근은 테니스 엘보인 외측상과염과 관련이 있는 근육입니다. 손목 통증 때문에 요가 수련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먼저 손목의 일반적인 굴곡과 신전 각도를 살펴보자면 약 70도 정도입니다. 만약 유연한 분들이라면 90도까지 굴곡과 신전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손목의 굴곡, 신전 각도가 크지 않은 사람들은 요가 수련 초기 손바닥을 짚고 체중을 버티는 자세에서 손목에 부담을 느끼곤 합니다. 부담을 피하기 위해서는 손바닥으로 바닥을 짚을 때 발을 너무 가슴 쪽으로 내려 손목이 과도하게 꺾이지 않도록 해야 하며 물구나무서기와 같은 자세를 할 때도 손목 부분에 매트를 넣어 과도하게 꺾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손등을 서로 맞대었을 때 통증을 느낀다면 손등 쪽으로 튀어나온 신경이 압박된 것입니다. 이럴 때는 후방으로 밀려 나온 손목뼈가 전방으로 들어가도록 해야 합니다. 테이블 자세에서 손가락 끝의 몸통을 향해 돌려놓고 지면으로 누르는 자세가 손목 스트레칭에 좋습니다. 네발 기기 자세로 바닥을 짚으면 견갑골이 회전하며 상완이 몸통 앞쪽으로 돌게 됩니다. 이때 손목 바깥쪽이 먼저 바닥에 닿게 되는데 그러면서 그만큼 체중이 더 많이 실리게 됩니다. 이럴 때는 엄지손가락 쪽 손목에 더 힘을 주어 체중이 분산되도록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