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Post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받는 방법 + 온라인 신청 완전 정리

이미지
운전면허증은 신분증으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빠르게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부산 시민의 경우 재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면허증 재발급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운전면허증 재발급 vs 갱신 차이점 재발급은 '분실/훼손/ 정보 변경 진행되는 절차이며 '갱신'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절차입니다.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재발급' 을 받으시면 되고 유효기간이 곧 만료되거나 이미 만료되신 분들이라면 '갱신 '을 하시면 됩니다. * 갱신 기간은 운전면허증 앞면 하단에 '적성검사(갱신) 기간'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바로가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운전면허증을 분실한 경우 운전면허증이 훼손된 경우 주소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사진이 오래되어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갱신이 아닌 '재발급 거쳐야 하며 재발급은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방법 총정리 운전면허증 재발급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온라인 재발급 도로교통공단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통해 인터넷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재발급 바로가기 재발급 수수료 IC모바일 운전면허증 영문/국문: 15,000원 일반 면허증 영문/국문: 10,000원 운전면허재발급-신청완료 저와...

호흡 보조 근육

 호흡을 보조하는 근육들

흉쇄유돌근은 귀밑에서 일어나 상부 흉골과 쇄골에 연결되어 있는 근육입니다. 이 근육은 흉곽 상부로 숨을 들이쉴 때 상부 흉골을 이용하여 흉곽을 위로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목갈비근은 경추를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경추는 추골이 작고 가동성이 크기 때문에 척주 중에서 가장 안정성이 없는 근육입니다. 목갈비근은 경추 횡돌기에서 시작해 목을 앞과 옆에서 잡고 있습니다. 이 근육은 1번, 2번 늑골을 들어 올릴 수 있어 흡기 시 상부 늑골을 측면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하게 됩니다. 상후거근은 목덜미인대와 경추 4번, 5번 늑골에서 끝납니다. 추골의 부착점에서부터 늑골을 위로 끌어올려 흉곽을 확장시켜 등 부위로 들숨을 보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소흉근은 쇄골 아래 있으며 가슴 상부를 들어 올리면서 공기를 들이마시는 들숨근육입니다. 견갑골 위에는 앞으로 돌출한 작은 돌기가 있는데 까마귀 부리 모양과 닮아서 오구 돌기라고도 불립니다. 소흉근은 여기에 부착하여 3~5번 늑골까지 뻗어있습니다. 소흉근이 수축하면 이 늑골들은 앞으로 향하면서 올라가게 됩니다. 등이 굽거나 어깨를 앞으로 웅크리고 있으면 소흉근이 굳게 되어 공기를 들이마시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흉근은 소흉근 위에 펼쳐져 쇄골과 흉골, 가슴 대부분을 감싸고 있는 근육입니다. 들숨에 흉골을 들어 올리면서 늑연골 하부 각을 확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전거근은 흉곽의 측면에 넓게 펼쳐져 있는 근육으로 흉곽을 둘러싸듯이 늑골을 따라 견갑골 안쪽 가장자리 갈비 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전거근은 아래로 내려올수록 점점 더 커지며 가장 아래에 있는 5개의 근육다발이 늑골을 옆으로 벌리며 들어 올리게 됩니다. 전거근은 강한 들숨 근육 중 하나로 숨을 조절하려고 할 때 흉곽을 펼쳐서 들고 있는 제어장치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늑골거근은 늑골의 후면에서 흡기를 담당합니다. 척주기립근은 간접흡기근으로 숨을 마시면서 흉곽이 전면으로 상승하고 몸통이 신장하게 됩니다. 이때 몸통 뒷면은 축소되면서 견갑골이 서로 가까워지기도 합니다. 인접하는 늑골 사이에는 왜 늑간근과 간근이 있습니다. 외늑간근은 아래로 내려오면서 앞으로 향해있으며 내늑간근은 아래로 내려오면서 뒤로 향해있습니다. 외늑간근이 수축하여 흉곽이 벌어지면 공기가 폐로 흡입됩니다. 내 늑간근이 수축하여 흉곽이 좁아지면 공기는 폐에서 밀려나게 됩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이 근육들은 들숨에 늑연골 하부를 확장시켰다가 날숨에 좁아지게 하는 근육들입니다. 숨을 내쉬는 데 가장 기본적인 힘은 폐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면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흉골 삼각근은 흉골 깊숙한 면에서 일어나 부채꼴 모양으로 늑연골까지 뻗어있습니다. 이 근육이 수축하면 늑연골은 아래로 내려가게 됩니다. 이 근육의 움직임은 기침을 할 때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기침을 할 때 가슴 한 가운데가 움푹 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이 것이 바로 흉골 삼각근의 움직임입니다. 하후거근은 날숨에 벌어졌던 부유늑골을 포함한 하부 늑골을 하후방으로 안정적으로 내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허리를 숙이고 장시간 일을 한 경우 긴장으로 인해 하후거근이 튀어나온 듯이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코브라자세로 허리의 긴장을 풀어줄 수 있습니다. 엎드려서 핸드폰을 볼때에도 단축성 긴장으로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복횡근은 복부 양 측면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으로 횡격막의 협동근으로 함께 작용합니다. 내복사근은 몸통을 앞으로 구부려 늑골을 밑으로 내리면서 숨을 내쉬는 것에 관여합니다. 외복사근은 늑골을 밑으로 내려주고, 허리둘레를 조일 수 있습니다. 복직근과 복횡근의 하부 섬유들과 함께 작용하며 복부 가장 아랫부분을 들어가게 할 수 있습니다. 복직근은 복부 앞면이 꺼지면서 숨을 내쉬게 할 수 있습니다. 단거리 달리기를 하고나서 숨을 몰아쉴때 이 근육의 움직임을 분명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골반격막은 골반 바닥을 구성하는 근육이며 골반바닥근이라고도 합니다. 골반격막은 숨을 내쉴 때 복강을 살짝 위로 끌어올려주며 물라반다는 이 격막을 들어올리는 작용으로 날숨을 통해서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