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Post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받는 방법 + 온라인 신청 완전 정리

이미지
운전면허증은 신분증으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빠르게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부산 시민의 경우 재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면허증 재발급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운전면허증 재발급 vs 갱신 차이점 재발급은 '분실/훼손/ 정보 변경 진행되는 절차이며 '갱신'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절차입니다.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재발급' 을 받으시면 되고 유효기간이 곧 만료되거나 이미 만료되신 분들이라면 '갱신 '을 하시면 됩니다. * 갱신 기간은 운전면허증 앞면 하단에 '적성검사(갱신) 기간'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바로가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운전면허증을 분실한 경우 운전면허증이 훼손된 경우 주소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사진이 오래되어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갱신이 아닌 '재발급 거쳐야 하며 재발급은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방법 총정리 운전면허증 재발급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온라인 재발급 도로교통공단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통해 인터넷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재발급 바로가기 재발급 수수료 IC모바일 운전면허증 영문/국문: 15,000원 일반 면허증 영문/국문: 10,000원 운전면허재발급-신청완료 저와...

팔운동에 작용하는 근육들

 팔운동과 관련된 근육

소흉근은 대흉근 안에 있는 근육으로 3~5번 늑골에서 일어나 견갑골 내측에 닿으며 가슴은 신경의 지배를 받는 작은 가슴 근육입니다. 수축 시 견갑골을 아래쪽 안쪽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소흉근의 강한 수축은 어깨를 앞으로 잡아당기면서 견갑골을 회전시켜 하락이 들리게 하여 하부 승모근과는 대항작용을 합니다. 하지만 견갑골이 고정된 평상시에는 들숨에 흉곽이 벌어지게 하는 홉이 보조금으로 작동하기도 합니다. 어깨가 말린 둥근 어깨의 체형의 경우 소흉근이 단축되어 얕은 호흡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흉근이 제 기능을 못 하면 숨을 가쁘게 쉬는 비정상적인 가슴호흡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럴 때는 가슴을 펴고 충분히 숨을 들이마시는 호흡을 유도해야 합니다. 소흉근은 대흉근 속에서 함께 작동하기 때문에 소흉근만 단독적으로 스트레칭하기는 어렵습니다. 요가 아사나에서는 '고무가 아사나'로 대흉근과 소흉근을 스트레칭할 수 있습니다. 팔을 들어 올려 머리 뒤로 넘긴 쪽에서는 대흉근이 확장되고 아래팔은 소흉근이 확장되도록 돕습니다. 이 자세는 회전근개와 견갑근까지 스트레칭할 수 있는 자세입니다. 과외 전 증후군은 소흉근이 경직되어 그 밑을 지나가는 동맥과 정맥 등이 눌려 어깨와 가슴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증상은 스파이크 동작을 많이 하는 운동선수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전거근 역시 팔운동과 관련된 주요 근육 중 하나입니다. 흉곽 측면과 늑간 근막에 붙어 외복사근과 맞닿아있는 근육으로 물건을 안을 때 견갑골을 잡아 당겨와 팔을 앞으로 뻗게 해주는 근육입니다. 전거근은 모든 비틀기 자세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장흉신경 포착 증후군은 팔이 수평 이상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는 현상입니다. 홉이 보조역할을 하는 외측 기근이 마비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전거근까지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하게 됩니다. 전거근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상부 승모근이 힘을 쓰면서 어깨를 올려 팔을 뻗게 되며 대흉근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견갑골이 덜렁거리듯 불안정한 느낌이 들고 이것이 장흉신경 포착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거근을 강화하는 운동에는 고양이 자세하고 있습니다. 손끝을 마주 보게 돌려놓고 팔을 쭉 뻗으며 등을 둥글게 들어 올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전거근에 힘이 들어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동작은 일어선 상태에서 벽을 밀거나 허공에 팔을 뻗으며 해도 좋습니다. 삼각근은 대흉근, 광배근과 더불어 팔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데 필수적으로 작동되는 근육입니다. 삼각근은 견봉에서 일어나며 어깨를 외측에서 싸고 어깨를 둥글게 감싸고 있는 근육입니다. 삼각근을 단련하는 운동법은 기본적으로 팔을 앞이나 뒤로 들어 올리는 것입니다. 팔을 들어 뻗고 있는 것은 삼각근의 힘을 증가시키며 복압을 유희 자요  몸통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회전근개는 팔의 회전운동에 관여하는데 견갑하근,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대원근으로 나뉘게 됩니다. 견갑하근은 어깨 관절의 모음근이며 어깨가 굳는 오십견이 드러나는 대표적인 근육이기도 합니다. 이 근육의 탄력이 떨어지면 팔을 들어 올리는 외전 작용에 제한받게 됩니다. 극상근은 견봉 아래를 지나 상완골도 뒤쪽에 있는 대결적 위쪽에 붙고 극하근은 상완골 위쪽 후면 모서리에 붙어있습니다. 이 근육들은 모두 어깨뼈 골에서 일어나서 어깨뼈 자리 소켓을 안정적으로 붙잡고 있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근육들이 뼈에 부탁하는 힘줄의 조합을 회전근개라고 합니다. 극하근이 뭉쳤을 때는 볼로 마사지가 가능하지만 손 닿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마사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견갑하근의 문제는 대부분 근육이 경직되어 주변 조직과 유착되는 경우입니다. 유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견갑하근에 자극을 가하여 들러붙지 않도록 뜯어내는 스트레칭을 하는 것입니다. 이럴 때도 역시 고무가 아사나가 좋은 자세입니다. 여기서 견갑하근을 집중적으로 스트레칭하기 위해서는 두 팔을 뻗어 올려 머리 뒤로 넘긴 채로 뒤통수로 팔뚝을 밀면서 상체를 뒤로 젖히는 것입니다. 소원근과 대원근은 회전근개 중 잘 뭉쳐 압통점이 드러나는 또 하나의 근육들입니다. 굽은 어깨의 경우 이 근육들이 늘어나 굳어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 근육들을 스트레칭하는 방법에는 양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려 한쪽 손으로 반대편 손목을 잡고 당기면서 상체를 반대로 기울이며 기지개를 켜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