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Post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받는 방법 + 온라인 신청 완전 정리

이미지
운전면허증은 신분증으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빠르게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부산 시민의 경우 재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면허증 재발급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운전면허증 재발급 vs 갱신 차이점 재발급은 '분실/훼손/ 정보 변경 진행되는 절차이며 '갱신'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절차입니다.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재발급' 을 받으시면 되고 유효기간이 곧 만료되거나 이미 만료되신 분들이라면 '갱신 '을 하시면 됩니다. * 갱신 기간은 운전면허증 앞면 하단에 '적성검사(갱신) 기간'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바로가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운전면허증을 분실한 경우 운전면허증이 훼손된 경우 주소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사진이 오래되어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갱신이 아닌 '재발급 거쳐야 하며 재발급은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방법 총정리 운전면허증 재발급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온라인 재발급 도로교통공단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통해 인터넷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재발급 바로가기 재발급 수수료 IC모바일 운전면허증 영문/국문: 15,000원 일반 면허증 영문/국문: 10,000원 운전면허재발급-신청완료 저와...

팔과 관련된 흉추, 근육

 팔에 작용하는 흉추와 근육들

등뼈는 경추와 허리뼈 사이에 위치하며 총 12개로 구성됩니다. 등뼈끼리도 차이가 있으며 등뼈 1번은 등뼈 12번보다 크기가 훨씬 작습니다. 등뼈 11번과 12번을 제외한 나머지 등뼈 뼈에는 늑골 결절과 연결되는 관절이 있고 추체 측면에서도 갈빗대를 잡아주고 있어 몸통 앞면의 흉골과 함께 흉곽 안정감에 기여합니다. 등뼈는 전체의 운동범위가 큰 편이며 각각의 운동범위는 작은 편입니다. 등뼈를 이용해 가슴을 앞이나 뒤로 기울일 수 있습니다. 좌우회전은 약 30도 정도의 선에서 가능합니다. 정상 만곡이 유지되는 경우 좌측 굴을 하면 척추체가 좌회전하게 됩니다. 등뼈 9번에서 12번까지는 허리뼈에 가깝기 때문에 허리뼈와 마찬가지로 회전에 따른 굴곡이 반대 방향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등뼈 신경에는 교감신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화 작용, 피부, 심결 관계의 자율신경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 부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우리 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경추나 흉추부 위에 연결 문제가 나타나면 견갑골과 승모근 부위가 뻐근하며 소화가 잘 안되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또한 심장부에 압박감이 들면서 땀이 나거나 심혈관질환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등뼈와 허리뼈 연결부위에 문제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허리나 중둔근 쪽에 통증이 심해지며 허리, 골반의 복합적인 문제가 나타나게 됩니다. 등뼈 통증은 대부분 휴식과 찜질, 자세 교정 등의 관리로 좋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등 쪽으로 뻗어지는 연관통이나 상복부 통증의 경우에는 정형외과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팔 운동과 관련 있는 등 근육에는 승모근과 광배근이 있습니다. 승모근은 견갑거근과 능형근을 덮고 있으며 견갑골의 움직임을 통해 팔 운동에 힘을 보태는 작용을 합니다. 광배근은 상완골에 부착되어 삼각근의 작용에 힘을 보태는 역할을 합니다. 가슴 쪽에서 작동하는 대흉근처럼 팔 운동에 큰 힘을 부여하여 어깨 관절에만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근육이기도 합니다. 승모근은 스님들의 모자 모양이라고 해서 부친 이름으로 여기서 말하는 수행승은 유럽의 가톨릭 수도회가 하나인 카푸친회를 말합니다. 이 근육은 수도승들이 착용한 코트에 달린 끝이 뾰족한 후드의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이렇게 부르게 되었습니다. 승모근은 머리를 받치고 있는 가장 큰 근육으로 어깨를 으쓱 올릴 때 작용합니다. 교감신경에 반응하는 근육이어서 몸과 마음이 위축되거나 긴장하면 승모근이 으쓱 올라가기도 합니다. 승모근은 상부 승모근, 중부 승모근, 하부 승모근으로 나뉘며 해당 부위마다 그 역할이 조금씩 다릅니다. 광배근은 넓은 등 근육이라고도 불리며 허리뼈 5~5번의 극돌기와 견갑골 하각을 지나 상완골 작은 결절 아래 능선에 부착하는 근육입니다. 하부 승모근에 의해 덮여있으며 견갑골 하강 작용과 등뼈를 신전시키는 것을 돕습니다. 대흉근과 광배근 사이에는 움푹 들어가는 갈비뼈 부위에 전거근이 붙어있습니다. 철봉 매달리기에서 팔로 몸을 지탱하는 것에서도 광배근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영할 때도  광배근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가 아사나에서는 다운독자세, 업독자세에서 광배근의 역할이 수행됩니다. 다운독 자세에서는 광배근이 중력을 거슬러 몸통을 들어 올려 어깨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업독에서는 광배근이 단축성으로 양팔과 등뼈를 신전시켜 어깨 관절의 공간을 확보하게 됩니다. 상부 승모근은 목덜미 인대에서 일어나 어깨 윗부분을 감싸고 쇄골 외측에 부착됩니다. 상부 승모근은 머리의 기울기에 따라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아 쉽게 피로해지는 근육이기도 합니다. 견갑거근은 상부 승모근 안쪽에서 견갑골을 들어 올리는 작용을 돕습니다. 견갑거근이 경직되면 견갑골의 상방회전을 하는 동작에 제한이 걸리게 됩니다. 또한 급성 통증이 생기며 고개를 돌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팔을 들고 뛰는 운동선수들에게 종종 발생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중부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은 견갑골을 안정화하는 근육들입니다. 어깨를 뒤로 당기고 양 견가볼을 모으는 운동은 능형근과 중부 승모근을 수축시킵니다. 이 근육들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견갑골이 벌어지고 그 기능을 상부 승모근이 대신하면서 근육이 뭉치게 됩니다. 능형근은 견갑골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으로 견갑골을 서로 가깝게 모으는 역할을 합니다. 능형근은 견갑골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데에도 작용합니다. 견갑골 한쪽 모서리 통증이 심해져 담이 온 것처럼 호흡이 답답하다면, 능형근 안에 있는 호흡근이 경직된 경우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