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Post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받는 방법 + 온라인 신청 완전 정리

이미지
운전면허증은 신분증으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빠르게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부산 시민의 경우 재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면허증 재발급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운전면허증 재발급 vs 갱신 차이점 재발급은 '분실/훼손/ 정보 변경 진행되는 절차이며 '갱신'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절차입니다.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재발급' 을 받으시면 되고 유효기간이 곧 만료되거나 이미 만료되신 분들이라면 '갱신 '을 하시면 됩니다. * 갱신 기간은 운전면허증 앞면 하단에 '적성검사(갱신) 기간'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바로가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운전면허증을 분실한 경우 운전면허증이 훼손된 경우 주소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사진이 오래되어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갱신이 아닌 '재발급 거쳐야 하며 재발급은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방법 총정리 운전면허증 재발급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온라인 재발급 도로교통공단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통해 인터넷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재발급 바로가기 재발급 수수료 IC모바일 운전면허증 영문/국문: 15,000원 일반 면허증 영문/국문: 10,000원 운전면허재발급-신청완료 저와...

고관절의 특성

 고관절의 특성과 움직임

고관절은 활막 관절에 속합니다. 다양한 움직임은 대개 활막 관절에서 일어나며 이는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기 때문에 가동관절이라고도 부릅니다. 고관절은 절구와 공 모양의 관절로 공처럼 생긴 뼈가 컵 모양의 다른 뼈 공간에 들어맞는 형태의 관절입니다. 이 관절에서 다리를 굽히거나 밖으로 벌리는 등의 회전시키는 동작들이 발생합니다. 일반인은 일상생활에서 고관절의 가동 범위를 충분히 살리는 동작을 취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는 고관절의 가동이 현저히 줄어들기도 하며, 한쪽 고관절이 벌어진 채로 불편함을 감수하고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관절은 어깨 다음으로 넓은 운동 범위를 가졌음에도 두꺼운 근육에 의해 보호되는 구조로 통증이 발생했을 때 정확한 부위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다리를 앞으로 움직이며 관절을 접어 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굴곡이라고 하며, 다리가 뒤로 움직이면서 관절의 각도를 크게 만드는 것을 신전이라고 합니다. 고관절 굴곡근은 골반 속에 있는 장요근과 치골에 붙어있는 치골근, 봉공근, 대퇴근막장근 등과 함께 붙어있습니다. 성인의 일반적인 고관절 굴곡 각도는 무릎을 폈을 때 80~90도이며 무릎을 굽혔을 때는 110~135도 정도입니다. 골반이 회전하면 이 각도는 더 커지며 이러한 가동성으로 대퇴가 늑골 하부까지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주동근인 장요근, 내전근 등을 강화하려면 다리를 들고 있는 나바아사나나 플랭크 자세에서 등산 동작을 취하는 것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복근은 안정화 근육으로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고관절 굴곡근에도 많은 힘이 들어갑니다. 고관절 신전근은 엉덩이에서 무릎까지 다리 뒷면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입니다. 고관절의 주동근은 오금줄과 대둔근으로, 평상시 서 있을 때 과신전은 문제가 되지만 운동을 할 때는 가동 범위가 확장되어 과신전이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다리를 안팎으로 벌리고 모으는 움직임은 외전과 내전이라고 합니다. 다리가 신체 중심에서 멀어지면 외전이고 다리가 신체 중심으로 가까워지면 내전입니다. 고관절 벌림근으로는 심층 둔근인 중둔근과 소둔근, 이상근, 안팎 폐쇄 근, 대퇴사각근등이 있습니다. 요가 아사나 중 바닥에 앉아 두 발바닥을 마주 보게 하여 허벅지를 풀어주는 받다코나아사나는 봉공근이 신장성 수축을 하게 하여 외회전시키는 동작입니다. 굴곡에는 대퇴근, 장요근, 치골근 등이 사용됩니다. 고관절의 기본적인 기능은 다리를 안으로 모으는 것입니다. 성인의 일반적인 고관절 내전의 각도는 30도 정도입니다. 비라바드라아사는 뒤쪽 다리 모음근의 역할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자세로 자세가 안정되도록 중심을 잡게 합니다. 또한 두 무릎 사이에 작은 공을 끼워놓고 조이는 운동을 통해서도 모음근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신체 중심선에 가까워지는 움직임은 내회전이라고 합니다. 신체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횡단면의 움직임은 외회전이라고 합니다. 고관절의 내회전은 모음근, 굴곡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고관절의 외회전은 엉덩이에 부착되어 있는 대둔근과 중둔근으로 이루어집니다. 대퇴근막장근은 장골릉 바깥쪽에서 일어나 대전자에 부착하여 장경인대로 이어집니다. 대퇴근막장근의 기본적인 기능은 고관절의 굴곡과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하퇴의 외회전에 관여합니다. 계단을 내려오거나, 내리막길을 걸을 때 중둔근과 소둔근의 브레이크 작용을 통해 골반 안정화에 기여하는데, 큰 걸음으로 쿵쿵거리며 내려오면 이 근육에 무리가 갈 수도 있습니다. 장경인대는 장골에서부터 무릎 아래 경골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으로, 격투기에서 이곳을 공격당한 선수들은 발을 바닥에 제대로 딛지 못하고 쩔쩔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강경인대 통증은 내리막길에서의 통증 누적이나 사이클 선수가 페달을 굴리는 것처럼 대둔근의 지속적인 수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장경인대 증후군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