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Post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받는 방법 + 온라인 신청 완전 정리

이미지
운전면허증은 신분증으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빠르게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부산 시민의 경우 재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면허증 재발급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운전면허증 재발급 vs 갱신 차이점 재발급은 '분실/훼손/ 정보 변경 진행되는 절차이며 '갱신'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절차입니다.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재발급' 을 받으시면 되고 유효기간이 곧 만료되거나 이미 만료되신 분들이라면 '갱신 '을 하시면 됩니다. * 갱신 기간은 운전면허증 앞면 하단에 '적성검사(갱신) 기간'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바로가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운전면허증을 분실한 경우 운전면허증이 훼손된 경우 주소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사진이 오래되어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갱신이 아닌 '재발급 거쳐야 하며 재발급은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방법 총정리 운전면허증 재발급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온라인 재발급 도로교통공단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통해 인터넷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재발급 바로가기 재발급 수수료 IC모바일 운전면허증 영문/국문: 15,000원 일반 면허증 영문/국문: 10,000원 운전면허재발급-신청완료 저와...

골격과 관절

골격과 관절

골격은 뼈, 연골과 같은 것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골격들은 '관절'이라는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무밴드처럼 골격을 지탱하고 있습니다. 2개 이상의 뼈가 합쳐져 관절을 이루며 여기에는 움직임이 거의 없고 골격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섬유관절 역시 움직임이 거의 없거나 살짝만 움직일 수 있으며 머리뼈의 봉합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천장관절은 골반에 위치하며 골반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움직임은 수동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연골관절은 연골 자체의 탄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움직임이 있습니다. 흉곽은 호흡 작용에서 늑연골의 탄력으로 인해 들숨에 좌우로 확장되었다가 날숨에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움직임을 가집니다. 뼈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24개의 뼈로 이루어진 척주입니다. 척주는 경추 7개, 등뼈 12개, 허리뼈 5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척주 역시 연골관절이 매우 중요합니다. 척추뼈 사이에는 추간원판이라는 유연한 섬유 연골이 있어 충격을 흡수하며 쿠션 역할을 해줍니다. 활막 관절은 뼈와 뼈가 만나 움직임이 일어날 때 윤활막이 막을 감싸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관절입니다. 무릎의 활막 관절 같은 경우에는 활액을 둘러싼 활액낭이 미끄러지면서 완충 역할을 하여 관절부의 마찰을 줄여주기도 합니다. 무릎은 굴곡으로 강한 압박을 받으면 관절 부위가 부풀어 오르며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 인체 뼈대의 척주는 s자 모양의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곡선은 우리가 걷거나 몸일 기울일 때 척주 하부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무거운 머리를 받치고 있는 경추도 c자 커브를 유지하고 있는데, 경추가 일자로 펴져 있다면 목과 어깨가 굳고 두통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척주는 태아가 몸을 둥글게 말고 있다가 세상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엉덩이에서부터 둥글게 말려있게 됩니다. 이것을 1차 만곡이라고 부릅니다. 이후 아기가 머리를 가누기 시작하고 기어다니면서 허리 부위가 앞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렇게 출생 후 중력에 적응하며 경추와 허리뼈가 앞으로 휘는 2차 만곡이 진행됩니다. 1차 만곡은 흉추부와 엉치뼈부가 각각 흉곽과 골반으로 감싸져 있어 안정감을 줍니다. 2차 만곡의 경우 안정감은 떨어지지만 가동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도의 전통 수행에서는 인간의 몸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자세와 상태를 4가지로 구분하였고 이를 이리야파타라고 불렀습니다. 이리야파타는 일상의 모든 순간에 어떤 상태에서도 깨어 있는 의식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바르게 선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상시 척추의 자연적인 만곡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허리 아래쪽과 배꼽 주변에 약간의 긴장감을 주어야 하며, 흉곽은 이완되어 있어야 호흡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또한 몸의 중심선을 의식해야 합니다. 몸을 뒤에서 보았을 때 고개가 기울지 않아야 하고 어깨의 높이가 같아야 합니다. 또한 무릎과 골반의 높이도 같아야 합니다. 측면에서 볼 때는 귓불과 어깨, 무릎, 발목 바깥쪽 튀어나온 뼈가 수직으로 내려와야 바른 자세 정렬입니다. 적절한 요추만곡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골반의 각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 각도에 따라 전반 경사와 후반 경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골반은 전방과 후방으로 관상 축 둘레의 회전을 합니다. 골반을 옆에서 보았을 때 수레바퀴처럼 골반이 앞과 뒤로 살짝 도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골반이 앞으로 도는 전방경사에서는 허리가 들어가 허리뼈 전만이 발생하게 되며, 골반이 뒤로 도는 후방경사에서는 허리가 펴지는 요추 후만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움직임이 골반의 정상적인 움직임입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지속적인 자세 불량 등으로 인해 골반의 기울기가 흐트러져 앞으로 돌아있거나 뒤로 돌아 허리뼈의 정상적인 만곡이 무너져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허리뼈의 정상적인 굴곡이 망가지게 되면 허리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허리뼈는 회전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앞뒤로 구부리는 운동만 일어나 주로 굴곡과 신전을 하는 관절입니다. 골반 각도에 따라 자세가 변형되기도 하는데 오리 궁둥이 형, 일자허리 유형, 흔들 허리유형 등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