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Post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받는 방법 + 온라인 신청 완전 정리

이미지
운전면허증은 신분증으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 빠르게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부산 시민의 경우 재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면허증 재발급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운전면허증 재발급 vs 갱신 차이점 재발급은 '분실/훼손/ 정보 변경 진행되는 절차이며 '갱신'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절차입니다.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재발급' 을 받으시면 되고 유효기간이 곧 만료되거나 이미 만료되신 분들이라면 '갱신 '을 하시면 됩니다. * 갱신 기간은 운전면허증 앞면 하단에 '적성검사(갱신) 기간'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바로가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운전면허증을 분실한 경우 운전면허증이 훼손된 경우 주소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사진이 오래되어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갱신이 아닌 '재발급 거쳐야 하며 재발급은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부산 운전면허증 재발급 방법 총정리 운전면허증 재발급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온라인 재발급 도로교통공단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통해 인터넷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재발급 바로가기 재발급 수수료 IC모바일 운전면허증 영문/국문: 15,000원 일반 면허증 영문/국문: 10,000원 운전면허재발급-신청완료 저와...

라자 요가와 하타요가

 라자 요가와 하타요가의 이해

라자 요가는 명상을 강조하는 요가입니다. 라자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왕'이라는 뜻이 되며 요가 수행의 목적이자 그 목적을 성취하는 수단을 동시에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것은 요가수트라에 등장하는 고유의 실천론을 별도로 일컫는 말이기도 합니다. 라자 요가라는 용어는 11세기 이후 중세 베단타와 탄트라 요가에 기초한 파탄잘리 요가에 기초하여 등장하였습니다. 라자 요가는 고전 요가, 아쉬탕가요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타요가는 몸을 정화하는 요가로 명상을 강조하는 라자 요가와는 반대의 길을 걷는 요가입니다. 하타라는 단어는 '힘'을 의미합니다. 하타요가는 힘이 많이 드는 요가이기도 하지만, 많은 요가 수행자는 이러한 문자적 해석보다는 태양을 뜻하는 '하'와 달을 뜻하는 '타'의 결합으로 음양이 조화를 이루는 요가라고 풀이하기도 합니다. 하타요가는 몸을 영혼이 머무는 신전으로 여기고 몸을 정화하는 수련으로 마음을 고요하게 하기 위해 몸을 단련시키는 것을 말하는 요가의 한 종류입니다. 하타요가에서의 수련은 신체의 특별한 기능을 발달시키는 데 주로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초월적 실현에 따르는 공격들에 저항할 수 있는 튼튼한 육체를 만드는 것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수련 방법으로는 아사나, 프라나야마, 무드라, 반다가 있습니다. 이중 무드라는 '봉인'을 의미하며 어떠한 상징적 자세가 하나의 전자기적 회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무드라는 대부분 손을 이용해서 만들며 호흡과 복압 등을 활용해 에너지를 순환시킵니다. 대표적인 무드라로는 마하무드라, 케서리 무드라, 바즈롤리 무드라가 있습니다. '반다' 역시 무드라와 비슷하게 무언가를 잠근다는 뜻인데 하타요가에서는 호흡 작용과 관련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를 닫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다에는 물라반다, 우다야나 반다, 잘란다라반다가 있습니다. 물라반다는 회음부를 수축하는 것입니다. 우다야나 반다는 복부를 흉곽 쪽으로 끌어올려 잠그는 것을 의미합니다. 잘란다라반다는 턱을 가슴 쪽으로 당겨 잠그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세 반다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을 마하 반다라고도하며 마하 무드라 라고도 합니다. 이 셋은 동시에 작동시키기도 하며, 순차적으로 하나씩 작동시키기도 합니다. 하타요가 수행에 있어 호흡 작용과 복강 내압을 상승시키거나 유지하게 시키는 것은 필수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반다는 명상에서는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어떤 상징적인 자세나 동작이 자연적 변화의 흐름을 방해하여 실상을 바라보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빈두는 한 점을 뜻하며 빅뱅처럼 그로부터 우주가 창조되었으며, 블랙홀처럼 다시 통합되는 한 점으로 표현되곤 합니다. 힌두인들은 종교적 예식에서 이마 한가운데 붉은 점을 찍기도 하는데 이를 빈다라고 합니다. 이점은 제3의 눈이 있는 위치이며 아즈나 차크라에 해당한 이곳이 활성화되면 고양된 의식의 내적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또한 '쉬카'라고 부르는 꽁지머리는 신과 연결되는 지점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요즘 힌두 브람민들이 많이 하고 다니는 헤어스타일인 뒤통수에 머리 꽁지만 묶고 나머지는 삭발하는 전통도 여기에서 비롯된 전통입니다. 다시 빈두로 돌아가자면, 빈두는 창조를 머금고 있는 액체 상태의 씨앗으로 여겨집니다. 이것은 산스크리트어로 암릿타라고도 하며 신비의 영역으로 비유됩니다. 빈두에서 분비된 분비물은 목 쪽에 있는 비슈다 차크라에서 정화됩니다. 비슈다 차크라는 소화기관인 마니푸라 차크라와 이어지기도 합니다. 케저리 무드라는 혀를 끝으로 말아 올려 구강과 비강을 맞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수개월간 수련을 하면 혀가 충분히 길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배고픔을 조절하기 위함입니다. 혀끝을 말아 올리는 것은 명상 수행을 하다 보면 저절로 벌어지기도 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느낄 수도 있으며 깊은 의식에 잠겨있을 때는 느끼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타요가는 몸 안에 있는 시스템과 다양한 힘을 조절하면서 더 높은 마음의 상태를 알아차리는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신경계를 안정시키면서 내장 기관들의 활동 역시 안정화하며 마음에도 영향을 줍니다. 하타요가로 몸을 단련한 다음, 라자 요가로 명상하는 수련은 체계적인 수련이라고 일컬어집니다. 하타요가는 물리적 유기체를 제어하여 마음의 안정감을 찾고 마음의 자아와 합일되어 브라만과 하나가 되는 범아일여와 의미를 나란히 합니다. 어떤 관점으로 보면 하타요가는 베단타 사상과 일치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